Loading...
수강상담
KOR

학습 Q&A

Question & Answers

순서배열 문제풀이

안녕하세요 순서문제를 푸는데 쌤 풀이나 과제장 필기랑 다른 경우가 종종 있어서 고민입니다. 시그널을 나름대로 이용해서 풀면 답은 맞긴 한데, 그 풀이과정이나 순서를 정하는 과정이 조금씩 다릅니다. 순서 문제가 원래 이런 특성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뭔가 잘못하고 있는 걸까요?

예를 들어, 13주 과제장 1번, 2번 문제에서

1번 문제를 풀 때 저는 제시문의 “농사 많이 해야 세계가 성장할 수 잇다”는 내용이 A의 “한가지 씨앗만 사용”이랑 연결이 안 되고, C랑도 인과로 연결되려면 앞에 적어도 화학물질이 농사에 도움을 준다는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B를 맨처음으로 고정하고, 그 다음 B후반부랑 A초반부가 같은 얘기, C 단절 이후로 붙는 얘기 없으니까 마지막 고정 등으로 풀어서 답은 맞긴 했습니다. 처음에 제시문과 A, C 연결성 확인할 때처럼 연결이 안 되는데 된다고 생각하거나 될 수도 있는데 안 된다고 단정 짓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2번 문지를 풀 때도 논리전개의 우선순위, C의 this analogy는 단수다 이런 이유로 처음 시작을 B로 고정해두고 들어갔는데, 만약 C가 첫시작이었다면 틀린 풀이가 되어버리니까요...

13주 어싸 5번

안녕하세요! 어싸 13주 5번 문제 질문입니당 처음에 2번 문장 앞뒤로 역접의 연결사가 있는대 같은 얘기라서 단절이라고 생각했다가 주어진 문장을 넣어보니 안과 시그널도, 역접 시그널도 다 안맞아서 2번이 아니구나 생각샜습니다. 

2번 바로 앞에는 비자발적인 소리에ㅡ대한 얘기가 있긴 하지만, 2번 앞문장 전체를 보면 “비자발적으로 내는 소리는 소통에 쓰지 않는다.”이고, 2번 뒷문장도 “비자발적 소리를 소통에 쓰는 무리가 없었다” 얘기니까 사실상 같은 얘기라고 생각했습니다. 2번 앞뒤가 왜 역접으로 연결 가능한건가용?



리플렉스 순서삽입 실전문재 15번

안녕하세요... 이 문제가 정말 이해가 잘 안 되빈다..

1. A의 “이게 고정관념의 기초가 된다”를 제시문의 비용(고정관념화하는 경향)으로 보면 왜 안 되는지

2. C 뒷부분을 싹둑하면 일반화에도 장점이 있다고 하는디, B의 these tasks가 generalizations를 받으면서 “효율적 자동적으오 한다”는 게 장점으로 연결돠면 안되는지...

그러니까 첫연결로 B만 지운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을 확정하려고 보니 CB가 같은 얘기를 한다고 생각해서 연결했었습니다. 이 논리 전체가 잘못된 것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질문입니다


리플렉스 순서삽입 실전문제 14번

안녕하세요 수업 때 A가 제시문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소거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인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부분이 잘 이해가 안 더ㅣㅂ니다..

제시문은 “결과에 기반해서 가격결정” 얘기이고, C는 “결과가 나와야 돈을 받는다”는 얘기이니 CA가 인과로 연결될 수 있다면 A도 제시문과 인과로 연결될 스 있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학습 Q&A로 이동하기

수강생들의 생생후기

BEFORE & AFTER

Location for : Listing Title